“커지는 헬스케어 3D프린팅 시장, 업체 난립 막을 ‘표준’ 있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2-02 08:42 조회1,333회 댓글0건

본문

각광받고 있는 3D 헬스케어 시장에서 국내 산업이 자리 잡기 위해선 명확한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가기술표준원(KATS)에 따르면 국내 3D프린팅 업체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때문에 연구 및 제품개발 외에 3D프린팅 표준화에 적극 나서기에는 전문 인력 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는 분석이다.

1052123_1112248_5455.jpg
헬스케어용 3D 프린팅 판매대수 전망(BIS Research Analysis)

이에 따라 적극적인 글로벌 표준화 및 KS(한국산업표준) 제정 등을 위해 정책적으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3D프린팅 표준화 사업과 예산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시장동향 분석보고서(산업통계팀 김수범)를 통해 “헬스케어 3D프린팅과 관련해 명확한 산업 표준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업체들이 난립할 경우, 시장 성숙을 저해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따라서 헬스케어 3D 프린팅 부문에서 제작에 적용되는 주요 가이드라인이나 연구개발 이후 제품 양산 단계를 지원하기 위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진흥원은 “보험적용을 위한 정비도 필요하다. 신기술 적용에 따른 영향평가 및 3D프린팅 제조과정에서의 위험요소 관리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상황”이라고 봤다.

이어 “3D 프린팅 영역에서도 헬스케어 산업은 의료서비스와 의약 연구는 물론 정보기술의 발전, 환자의 니즈, 정책변화, 시장 트렌드 등 수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매우 복잡한 분야로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조사기관인 BIS Research는 전세계 3D 프린팅 시장에서 헬스케어 부문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약 16%라고 집계했다.

이같은 헬스케어 3D 프린팅 시장규모는 2015년 9억269만달러에서 2022년 38억9,779만달러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진흥원은 “여러 국가에서 정부 지원금을 늘리는 등 3D 프린팅 분야의 시장성장을 촉진시키고 있다”며 “의료분야의 엄격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우수한 산업용 원료의 가용성이 높아진 것도 헬스케어 3D프린팅 분야 성장에 긍정적 요인”이라고 전했다.?